재미있는 인터넷속 이야기들
심해 생물들...
minjpm
2009. 1. 10. 10:49
심해를 탐험한 사람의 숫자는 우주여행을 한 사람의 숫자보다 적다. 우리는 심해에 대해 알고 있는 것보다 달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이 더 많다. 심해를 탐험할 수 있는 탐사정은 전세계적으로 5대밖에 없다. 이들이 지금까지 탐사한 심해의 면적은 전체 심해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 심해 탐사정 ![]() 초대형 갑각류 눈이 엄청나게 크다 ![]() 영리엽새우 해파리의 몸통을 훔쳐서 기생충 처럼 살고 있다. ![]() 투명 오징어 ![]() 해파리 해파리는 섬모의 작용으로 헤엄쳐 다닌다. ![]() 해파리의 섬모 ![]() 눈이 큰 심해 물고기 이름은 모름. 구엽게 생겼는데 다큐에서 안 알려줬음 ^^ ![]() 귀신고기 매우 공격적이다.몸집에 비해서 이빨이 너무 커서 입을 다물지 못한다. ![]() 심해 해파리 ![]() 털아귀 이번 탐사에서 최초로 발견된 동물, 몸에 난 수백 개의 안테나로 먹이감을 탐지한다. ![]() 심해아귀 안테나 안에 발광 박테리아가 기생하며 빛을 낸다. 심해아귀는 이 빛을 이용해 먹이감을 유인한다. ![]() 이름 모름 ^^ 눈 주변에 푸른 색 발광체가 있다. ![]() 자이언트 시프리스 완두콩만한 크기이다. ![]() 심해 해파리 페리필라 순간적으로 빛을 발산하여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 심해 해삼 ![]() 은상어 ![]() 잠보상어 심해에서 살며 8m까지 자란다 ![]() 심해문어 덤보 비치볼 만한 크기이며 귀로 헤엄을 친다 ![]() 심해의 극피동물들 ![]() ![]() ![]() ![]() 해저산맥 높이 3000m, 길이 4만5천km에 이르는 지구상에서 가장 거대한 산맥이다. ![]() 황화수소가 뿜어져 나오고 있는 열수공 물은 섭씨 100도에서 수증기로 변하지만 이곳 심해에서는 엄청난 압력 때문에 섭씨 400도에서도 액체상태로 남아있다 ![]() 섭씨 80도의 고온과 생명체에 치명적인 황화수소가 가득한 심해에도 생명체가 살고 있었다 ![]() ![]() 심해 홍합과 게들은 섭씨 80도의 물속에 함유된 유황을 에너지로 바꾸는 특수 박테리아를 잡아먹으며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 ![]() 서관충 서관충 안에는 유황을 에너지로 바꾸는 특수 박테리아로 가득차 있다 ![]() ![]() ![]() ![]() 이곳 500여종의 동물들은 햇볕에 의한 광합성의 도움없이 특수 박테리아를 기반으로 한 먹이사슬이 형성되어 있다. 생명체는 햇볕없이 살 수 없다고 생각했던 과학자들은 이 생물체들을 보고 깜짝 놀랐다. 과학자들은 탐사할 때마다 매번 새로운 종류의 생물들을 발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