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는 요즘 들어 뉴스나 각종 미디어를 통해 우리 귀에 심심치 않게 들리는 화학물질 중 하나이다. 왜 그렇게 주목을 받고 있을까? 첫 번째 이유는 아마도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라는 누명(?)을 혼자서 뒤집어쓰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두 번째 이유는 탄산음료를 즐겨 마시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우리에게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든(?) 가스이기 때문이다. 우리 생활에 밀접하다는 이유 외에도 이산화탄소는 우리가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존재이다. 왜냐하면 우리 몸을 흐르는 혈액의 pH를 일정하게 하는 데 이산화탄소가 매우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별한 독성이 없어 생활에서 많이 이용하는 이산화탄소 |
|
|
|
|
|
|
이산화탄소는 긴 세월 동안 바닷물에 녹아 탄산칼슘으로 변하였고, 탄산칼슘의 성분이 모여 대리암이 되었다.
그림은 미국 유타에 있는 거대한 대리암층이다.
|
|
|
|
- 초임계 유체
초임계 유체(super critical fluid)는 물질이 가지고 있는 임계점 이상의 온도와 압력에 있는 상태를 말한다. 기체와 같이 분산을 하기도 하며, 액체처럼 물질을 녹이기도 한다. 임계점 근처에서는 온도나 압력을 조금만 바꿔줘도 밀도에 큰 변화가 나타나는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초임계 유체를 산업 현장이나 실험실에서 매우 좋은 용매로 사용한다.
'우주 & 신비로운 과학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합성고무 - 타이어 (0) | 2010.06.14 |
---|---|
[스크랩] 이분법 - 번식의 방법 (0) | 2010.05.27 |
[스크랩] 인간의 미개척지 - 심해에서 우주까지 (0) | 2010.05.24 |
[스크랩] 시간의 흐름 - 시간의 방향성 (0) | 2010.05.24 |
[스크랩] 꽃의 화려한 색깔의 비밀 - 안토시아닌 (0) | 2010.05.19 |